사진 용량 줄이는 방법, (일괄) 크기 조절 방법

미디어 표현매체가 점점 발달함에 따라 미디어의 크기도 비례해서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웹 업로드나 기타 편집 후 결과물을 낼 때에는 사진 크기를 줄일 필요가 생겼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맥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사진 크기 조절 방법에 대해 적어보았습니다.

우선, 사진의 용량과 질은 ppi(Pixel Per Inch)에 의해 결정됩니다. 쉽게 말하면, 같은 영역 내에 얼마나 조밀하게 많이 점들이 표현되어 있는가이죠. 만약에 두사진의 조밀도가 같다면, 사진의 크기(scale)이 클수록 많은 점들을 포함하니 당연히, 사진의 크기가 커집니다. 그래서 사진의 크기를 줄이기만 해도, 사진의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해상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방법별 장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윈도우 : 그림판 사용 (간단)
  • : 미리보기 사용 (초간단, 일괄처리시 약간의 셋팅 필요)
  • 맥 : Th-MakerX 사용 (초간단, 공짜)
  • 맥/윈도우 : 포토샵 사용 (간단, 하지만 비쌈)
  • 맥/윈도우 :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작업 (간단)

아래 목록을 참고하시어 필요한 부분을 찾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UPDATE 2018-07-31

  • 윈도우 운영체제 및 웹에서 할 수 있는 방법도 추가하였습니다.
  • 글 문맥을 약간 수정하고, 목차를 넣었습니다.

UPDATE 2019-01-21

  • 모하비 업데이트로 인해, 오토메이터 부분, ‘Quick Action’으로 수정
  • 이미지 변경

윈도우에서 단일 사진 용량 조절

윈도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원본 이미지 : 128KB ▼

 

그림판을 활용한 방법

1) 그림판을 실행하고, 원본이미지를 엽니다.

그림판을 여는 방법은 다 아실꺼라 생각하여,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2) 상단 메뉴바에서 ‘크기 조정’을 누릅니다. ▼

 

3) 백분율 / 픽셀을 선택하여 값을 조정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굳이 픽셀을 선택하여, 특정 값을 입력하는 것보다 백분율을 선택한 후, 50% 넣는 것이 훨씬 더 편리합니다.

 

4) 크기 조정이 완료되었으니, 저장합니다.

  •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5) 아래와 같이 이미지 용량이 줄어들었습니다. ▼

  • 원본 이미지 : 128KB
  • 수정 후 이미지 : 56.8KB


맥에서 사진 용량 조절

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 시작 전, 760KB의 원본 사진을 준비하였습니다. ▼

 

미리 보기를 사용한 방법

1) 조절하고 싶은 사진을 ‘미리보기(Preview)’ 앱으로 여시고, Tool > Adjust Size를 누릅니다. ▼

 

2) 기존에 1920px이었던 가로 수치를 700px으로 내립니다(비율 유지). ▼

설정이 끝나시면, ‘cmd + s’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3) 223KB(원본 : 760KB)로 용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만약, 고화질의 사진을 크게 보여주고 싶으시다면 1200이하로 내리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이도 정확한 수치가 아니니 내가 필요한 크기에 맞춰 사진을 뽑아보고, ‘이정도면 되겠다~’ 싶은 수치에 맞춰 주시면 됩니다.

* 필자는 포스팅 시, 가로 450px 정도로 이미지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미리 보기 앱) 사진 크기 수정을 오토메이터로 구현하기

위의 사진 크기 조절 기능은 하나하나씩 사진 크기를 수정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토메이터를 사용하여 매크로를 만들어 놓으면, 여러 사진도 한꺼번에 조절이 가능합니다. 오토메이터 앱은 맥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앱이므로, /Applications 혹은 스팟라이트로 실행하시면 됩니다.

 

1) 오토메이터를 열고 ‘Service’를 누릅니다. ▼

  • 물론, ‘Workflow’나 ‘Application’로 구현하셔도 상관없습니다. 개인적으론 ‘Service’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한 것 같습니다.
  • 모하비에 들어, ‘Service’가 ‘Quick Action’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능상 차이는 없습니다.

  • 오토메이터 사용법 : 왼쪽에서 기능을 검색한 후, 오른쪽으로 ‘드래그 앤 드롭’해주시면 됩니다. ▼

 

2) 오토메이터 구현화면 

담아야할 내용이 많아 길게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사진이 잘 보이지 않는 점을 감안해, 해당 workflow 파일을 링크해두겠습니다.

AppleScript 참고 ▼

on run {input, parameters}
    set pathList to {}
    repeat with itemNum from 1 to count of input
        tell application "System Events"
            copy POSIX path of (container of (item itemNum of input)) to end of pathList
        end tell
    end repeat
    return pathList
end run

 

3) 원하는 사진을 ‘우클릭 > Services > 내가 저장한 이름’으로 만든 워크플로우를 실행합니다. ▼

  • 필자의 경우, 가로 1000px용과 500px용을 두가지를 만들어 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 용량이 159KB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h-MakerX를 이용한 방법(일괄 수정)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Th-MakerX’ 앱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드래그 앤 드롭’으로 아주 간편하게 여러사진을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선, Th-MakerX라는 무료 앱을 다운 받아주시기(링크) 바랍니다.

 

1) 변환 방법은 간단합니다. 사진을 앱으로 ‘드래그 & 드롭’하시면 됩니다. ▼

여러장의 사진을 한꺼번에 사용하셔도 됩니다.

 

2) 그림과 비교하여, 해당 기능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Resize Mode : 사이즈 크기를 결정합니다. 보통 Fit에 놓고 가로 길이만 맞추시면 세로길이는 알아서 조절이됩니다. 만약, 사진에 고정 비율이 없다면, Fit부분을 클릭하여 Width기준, Height기준, Area기준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웹에 올릴 사진을 줄이실 것이라면 Fit을 유지하시면 되겠습니다.
  • Output file format : JPEG나 PNG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Add to output file name : 수정이 된 사진들의 output file name입니다. 모두 th_가 붙어서 인쇄가 됩니다.
  • Action for file name conflict : 파일이 겹칠 경우, 물어봐줍니다.
  • Margin : Margin이란 사진과 그 배경(Canvas) 사이의 거리를 뜻합니다. 만약 Margin이 0이라면 Canvas와 사진과의 간격이 없다는 뜻이 되겠죠? 웹프로그래밍에서 쓰이는 Margin 개념이 이와 같기 때문에, 사진을 인용해서 설명드리면 Border안의 내용이 Image가 되겠고, 최외곽의 점선이 Canvas가 되겠습니다.

  • Destination : 만들어진 파일이 생성된 경로, (필자는 Same as Original(원본 파일경로와 같음)이 제일 편하더군요..)
  • Detail Setting : 말그데로 Detail Setting입니다. 간단한 웹 작업을 하실 것이라면, Image Resolution만 72DPI로 맞춰주시면 무난합니다.

윈도우/맥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윈도우와 맥에서, 특정 앱만 있다면, OS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포토샵을 이용한 방법(일괄 조정)

포토샵이라는 고가(?) 프로그램이 있으시면 사진 편집을 좀 더 고 퀄리티(?)로 하실 수 있습니다.

1) Image > Image Size로 들어갑니다.

 

2) Preview(맥)와 비슷한 창 나옵니다. ▼

  • Pixel Dimensions : 사진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웹에서 사용하실 거라면, Pixels로 맞추고 작업하시면 됩니다. 그 옆에 작은 쇠사슬 모양이 있는데 이는 Width와 Height가 종속(이미지 비율 고정)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즉, Width만 바꿔도 이에 맞춰서 Height가 변경됩니다.
  • Document Size : 문서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웹업로딩의 경우라면, Resolution부분을 72정도로만 바꿔주셔도 무난합니다.

3) Photoshop 내에서 여러 사진 크기를 일괄적으로 줄이려면, 아래 경로로 접근합니다.

  • File > Scripts > Image Processor ▼

 

4) 조정하고 싶은 사진을 한 곳에 모아 둔 뒤, Select Folder로 그 폴더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File Type을 아래에서 선택한 뒤(JPEG), Run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


브라우저에서 바로 이용하는 방법

OS 관계 없이, 브라우저에서 바로 이미지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점이 있다면, 내 이미지가 웹페이지 서버에 저장되어 어떻게 사용될지 모른다는 보안 관점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공유되고 관계 없는 이미지만 이 방법을 통해 줄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실험에 사용될 이미지는 아래와 같이 준비하였습니다. ▼

  • 용량 : 760KB

 

TinyPNG

1) 아래 웹사이트로 접속합니다. ▼

 

2) 아래 표시된 영역에 이미지를 드래그 & 드롭을 합니다. ▼

 

3) 압축이 완료되고 ‘download’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합니다. ▼

 

4) 해상도는 그대로 유지된채, 이미지 크기가 축소되었습니다.

  • 760KB -> 377.9KB ▼

 

그외 이미지를 사이즈를 줄여주는 웹사이트

다른 웹사이트 역시 작동 방법은 위에 설명드린 TinyPNG와 마찬가지입니다(드래그 & 드롭). 그래서 어느 정도 효율이 있는지만 비교하여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

 

Compress PNG/JPEG

Compressor.io

ILoveIMG


이상입니다.

참고 

1 COMMENT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