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중인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에 관한 글입니다. 속도 단위로 사용되는 Mbps에 관한 간략한 내용 및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앱을 기록해두었으니, 아래 목록 참고하시어 필요한 내용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속도 단위 이해하기
속도 측정에 앞서 측정 결과로 확인하실 수 있는 단위(Mbps)에 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Mbps vs MBps ▼
- Mbps : Megabit Per Second
- MBps : Megabyte Per Second
Mbps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초당 메가바이트(MB/s)가 아니라, Mbps란 초당 메가비트를 의미하는 단위입니다. 1비트가 8바이트이기 때문에 해당 Mbps 값에 8을 나눈 값이 초당 메가바이트 값이 됩니다.
예시 ▼
70Mbps = (70 / 8)MB/s = 8.75MB/s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사용 중인 운영체제 관계 없이 브라우저에서 바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SPEEDTEST
SPEEDTEST 홈페이지(아래 링크)에서 진행하시면 테스트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우클라에서 서비스하는 SPEEDTEST 사이트는 과거 플래시 기반으로 인터넷 속도를 서비스해주었지만 지금은 HTML 5를 지원하기 때문에 굳이 플래시를 설치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첫 화면에서 GO 버튼만 눌러주시면 속도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speedtest.net
모바일 앱 ▼
모바일 앱으로도 지원하고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의 인터넷 속도를 테스트할 때도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Fast.com
넷플릭스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입니다. 웹페이지에 접근하자마자 속도 측정이 시작되니 별다른 조작이 필요 없습니다.
- 공식 홈페이지 : https://fast.com/ko
SPEEDCHECK
내용은 위 사이트들과 동일합니다. 아래 공식 홈페이지 주소를 참고 바랍니다.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peedcheck.org/ko/
맥용 속도 측정 앱
앱스토어를 통해 우클라의 ‘Speedtest’ 앱을 무료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위에서 언급드린 SPEEDTEST 웹사이트에서의 값과 같은 결과값을 표시합니다. 다만, 브라우저에서 접근할 필요 없기 때문에 조금 더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OS용 속도 측정 앱
기본적으로 Ookla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앱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무료이면서 필요한 기능만 깔끔하게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OpenSignal
사용자가 기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셀룰러 신호의 강도 및 주변 무료 와이파이를 찾아주는 ‘OpenSignal’이라는 앱도 있습니다. 물론, 데이터를 기여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이기 때문에 아무 데이터도 공유하지 않고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또한, 무료 인터넷 속도 테스트 기능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사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OpenSignal’ 앱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여기 무료 와이파이가 있다.”
- “여기 송전탑이 있다.”
- “지금 인터넷 속도는 OOms이다.”
- “데이터는 OO.MB만큼 사용했다.”
- 등
이상입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