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꽤 지나긴 했지만 여전히 외국에 나가 조금만 지내다보면, 우리나라 인터넷이 얼마나 빠르고 안정적인지 아직도 많이 체감되는 듯합니다. 요즘은 게임할 때나 한번씩 듣는 단어인 것 같은 PING은 컴퓨터의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할 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PING이란? PING(packet Internet grouper)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 진단하는 명령어를 말합니다. IP 기반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끼리의 접속성 확인에 사용되며 응답이 돌아올 때까지 반환 시간과, 상대방 도달 경로의 혼잡 상황도 알아낼 수 있는 매우 간편한 방법입니다.”
출처 – CODNS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라 아래와 같이 맥/윈도우로 구분하여 그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목차
기본 게이트웨이 확인
공유기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선 외부 서버와의 연결 확인 이전에 나의 컴퓨터와 공유기의 연결도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로 맥/윈도우 모두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혹, 공유기를 사용하고 계시지 않으신다면 이부분을 건너뛰셔도 무방합니다.
맥 | 기본 게이트웨이
1) 터미널 앱을 엽니다.
- Spotlight(cmd+ space) > ‘Terminal’ ▼
2) 아래 커맨드를 입력합니다. ▼
$ netstat -rn
필요한 정보만 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붉은색 커맨드를 입력합니다.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는 파란색으로 표시된 주소입니다.
$ netstat -rn | grep "default" | awk '{print $2}' 192.168.0.1 fe80::%utun0 fe80::%utun1 fe80::%utun2
3)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 192.168.0.1
윈도우 | 기본 게이트웨이
1) 윈도우키 + R로 ‘실행’창을 실행하여, ‘cmd’를 입력합니다. ▼
2) ipconfig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ipconfig
맥에서 PING 테스트하기
GUI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하지만, 터미널에서 작업하시는게 조금 더 편리한 듯합니다. 두 방법 모두 명시해놓았으니, 편하신 방법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될 주소 ▼
- 컴퓨터와 공유기간 : 위에서 찾은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합니다.
- 공유기와 외부 인터넷간 : 인터넷 주소를 입력합니다.
공유기와 외부 인터넷간의 테스트에선 통신사 서버와 테스트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 합니다. 아래 통신사 서버 주소 참조바랍니다.
- KT : 168.126.63.1
- SKT : 210.220.163.82
- LG : 61.41.153.2
문제 파악 ▼
- 결과가 0 ~ 100ms 사이로 일정하게 나오고 있다면, 대게는 만족할만한 속도입니다.
- 중간중간 “Request timed out”과 같은 메세지가 나오신다면, 연결이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속도와 관련된 어떠한 결과도 나오지 않고, ‘요청 시간 만료 메세지’가 뜨게 된다면, 연결이 완전히 끊어진 경우입니다.
GUI에서 확인
- Spotlight > Network Utility를 엽니다.
- Ping 탭에 들어갑니다.
- IP 주소 혹은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여 테스트합니다.
터미널에서 확인
터미널을 열고 아래 붉은색 커맨드를 해당 주소와 함께 실행합니다. 무한 루프이기 때문에 결과와 함께 종료하려면, control + C, 강제 종료하려면, control + Z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 KT : 168.126.63.1
- SKT : 210.220.163.82
- LG : 61.41.153.2
- 컴퓨터와 공유기간의 경우, 본인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 (178) $ping 168.126.63.1
PING 168.126.63.1 (168.126.63.1): 56 data byte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0 ttl=57 time=2.091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 ttl=57 time=1.987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2 ttl=57 time=1.963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3 ttl=57 time=2.118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4 ttl=57 time=2.280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5 ttl=57 time=2.690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6 ttl=57 time=2.727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7 ttl=57 time=2.258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8 ttl=57 time=2.257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9 ttl=57 time=2.649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0 ttl=57 time=2.131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1 ttl=57 time=1.960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2 ttl=57 time=2.013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3 ttl=57 time=2.045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4 ttl=57 time=1.855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5 ttl=57 time=2.208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6 ttl=57 time=2.228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7 ttl=57 time=2.023 ms
64 bytes from 168.126.63.1: icmp_seq=18 ttl=57 time=2.232 ms
윈도우에서 확인
맥과 확인 방법이 매우 유사합니다.
문제 파악 ▼
- 결과가 0 ~ 100ms 사이로 일정하게 나오고 있다면, 대게는 만족할만한 속도입니다.
- 중간중간 “Request timed out”과 같은 메세지가 나오신다면, 연결이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속도와 관련된 어떠한 결과도 나오지 않고, ‘요청 시간 만료 메세지’가 뜨게 된다면, 연결이 완전히 끊어진 경우입니다.
1) 윈도우키 + R로 ‘실행’창을 실행하여, ‘cmd’를 입력합니다. ▼
2) 아래 규칙에 맞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무한 루프로 작동하기 때문에, 종료하고자 하실 때는 control + c를 눌러 나와주시면 됩니다. ▼
- KT : 168.126.63.1
- SKT : 210.220.163.82
- LG : 61.41.153.2
- 컴퓨터와 공유기간의 경우, 본인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ping -t 주소
마치며
흔히 게임을 하다가 “핑이 뜬다”라고 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 PING의 속도 단위 : 사용자가 보낸 정보를 서버에서 받고 되돌려주는데까지 걸린 시간의 단위로 ms(밀리세컨드), 1초 = 1000ms
PING이 100ms 미만의 속도(0.1초)를 유지한다면, FPS류의 게임이 아닌 이상 플레이에 큰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하지만 PING이 그 이상의 속도(예: 300ms 등)로 올라가거나 유지 된다면, 사용자가 순간이동을 한다거나 하는 내가 제압한 상대가 몇초 뒤에 죽는다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정상적인 게임 진행이 불가능합니다. 이때는 관계자측에게 문의를 하던 내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인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