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에서 한자 및 이모티콘, 특수문자 입력하기

맥에서 한자 및 이모티콘,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글입니다. 이모티콘이나 특수문자는 사용빈도가 꽤 높지만, 한자의 경우, 자주 사용하는 문자가 아닌 만큼 자주 잊어버리는 듯합니다. 이에 아래와 같이 기록해두고, 필요하신 분들에게 도움이되고자 합니다.

* 아래글에서 사용되는 기호 ‘⌥’는 키보드 ‘option’ 키임을 알려드립니다.


한자 입력하기

맥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간단한 단축키가 있습니다. 변환하고 싶은 글씨를 한글로 입력한 후에 ‘⌥ + Return’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글자 단위 혹은 단어 단위로 변경이 가능하니, 이 부분은 아래 내용을 참조 바랍니다.

 

한글자씩 입력

한글자씩 입력하고 싶으실 때는 한글자씩 커서를 가져다 놓고 ‘⌥ + Return’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한자 상자가 아래와 같이 나와 원하는 한자를 고르실 수 있습니다. ▼

 

단어로 입력

단어로 찾고 싶으실 때는 단어 끝에 가셔서 ‘⌥ + Return’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한글자씩 찾을 때와 마찬가지로, 도움 상자가 열리게 되고, 원하는 한자어 모음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등록되지 않은 단어를 등록하고 싶을 때

자주 사용하지만, 한자 도움 상자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단어가 있을 때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한자어를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 등록되지 단어의 예시 ▼

 

1)  오른쪽 상단의 메뉴바에서 ‘언어’ 아이콘을 클릭한 후, ‘한자 사전편집(Edit Hanja Dictionary)’를 선택합니다. ▼

 

2) 좌측 하단의 ‘Add’ 버튼을 눌러, 원하는 단어를 추가합니다. ▼

  • 마찬가지로, ‘⌥ + Return’ 키를 활용해 한글자씩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 정상적으로 등록된 모습 ▼

 

3) 등록된 단어를 한글로 입력 후, ‘⌥ + Return’ 키를 다시 눌러보시면, 다음과 같이 뜨게 됩니다. (빛 색, 빛날 휘입니다) 

 

한자의 음을 모르는 상황에서, 획을 안다면?

한자의 음은 모르지만 획을 알고 계시다면, ‘Trackpad Handwriting’ 기능을 추가해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트랙패드로 한자어를 적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보다 구글이나 네이버같은 한자 찾기 서비스를 활용하시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1) ‘System Preference > Keyboard’ 혹은 ‘Spotlight > Keyboard’ 로 키보드 설정을 엽니다.

  • + 아이콘을 눌러 한자를 추가하고 ‘Trackpad Handwriting’으로 옵션을 바꿔줍니다. ▼

  • 결과 ▼

 

2) ‘cmd + shift + space’를 누르시게 되면, ‘Handwriting’ 패드가 나옵니다. 여기에 한자어를 적어 찾아보시면 됩니다. ▼

  • 저는 굉장히 불편했습니다. 그냥 웹에 있는 손글씨를 지원하는 도구를 이용하는 편이 나은 듯합니다.
  • 트랙패드 화면을 나가기 위해선 ‘cmd + shift + space’를 한번 더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 마우스 커서가 보이지 않으면 마우스 우클릭을 한번 하시면 됩니다.

 

불편한 점) 원하는 한자를 커서 없이 트랙패드에서 그리고, 찾아진 한자어를 트랙패드에서 선택해야 됩니다(역시, 커서 없이). 커서가 보이지 않으니 엄청난 공간 감각이 필요한 건 사실입니다. 커서를 보기 위해 ‘ESC’로 나가게 되면, 색인되었던 한자들도 다 사라지게 됩니다.


이모티콘 / 특수문자 입력하기

입력을 원하는 장소에 커서를 가져다 놓고, ‘ctrl + cmd + space’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맥에서 사용하는 특수 심볼 ⌘, ⌥, ⇧ 등도 이곳을 통해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Icons8’ 앱을 설치하시면, 58,500가지 추가 아이콘을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 이모티콘과 특수문자들이 줄을 지어 나옵니다. ▼

  • 좀 더 자세한 내용 혹은 더 많은 이모티콘 정보를 보고 싶으시면, ‘우측 상단’의 작은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

  • 이모티콘 이름, Unicode, UTF-8로 색인이 가능하니 자유롭게 검색하시면 됩니다. ▼


이상입니다. 🙂

참조

5 COMMENTS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