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DNS 서버로 변경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통신사 회선으로 설정되어 있는 DNS 서버를 구글 DNS 서버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속도면에서는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 회선에 맞는 DNS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특정한 이유가 없는 이상 그냥 기본값으로 설정된 DNS 서버로 사용하시는게 무난합니다.


DNS 서버 주소 선택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DNS 서버 주소 리스트입니다. 특정 DNS 서버로 바꾸고자하는 목적이 없으신 분들은 ‘namebench’로 본인의 환경에 맞는 DNS 서버를 찾으신 후에 최적의 DNS 서버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 우선, 아래에서 원하는 DNS 서버 주소를 선택합니다. ▼
KT olleh 기본 DNS 서버 주소 : 168.126.63.1
KT olleh 보조 DNS 서버 주소 : 168.126.63.2

SK Broadband 기본 DNS 서버 주소 : 219.250.36.130 
SK Broadband 보조 DNS 서버 주소 : 210.220.163.82

LG U+ 기본 DNS 서버 주소 : 164.124.101.2
LG U+ 보조 DNS 서버 주소 : 203.248.252.2

Google 기본 DNS 서버 주소 : 8.8.8.8
Google 보조 DNS 서버 주소 : 8.8.4.4

OpenDNS 기본 DNS : 208.67.222.222
OpenDNS 보조 DNS : 208.67.220.220

Cloudflare  기본 DNS : 1.1.1.1
Cloudflare 보조 DNS : 1.0.0.1

추가 내용

  • ‘namebench’를 돌려보면, KT 회선을 사용하는 필자의 컴퓨터는 KT DNS 서버가 가장 빠릅니다. ▼

윈도우/맥 모두 지원합니다. 테스트하고자 하는 DNS 서버를 ,(콤마)로 구분하여 넣어주시고, ‘Start’를 누르시면 됩니다.

  • 범용적인 DNS 서버 속도는 DNSPerf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도 있지만, 본인 환경에 정확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맥에서 DNS 서버 변경하기

1) ‘System Preferences > Network’로 들어갑니다. ▼

스팟라이트(cmd + space)이나 알프레드를 켜시고, ‘network’ 키워드를 검색하시면 바로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2) 유선이든 무선이든 본인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혹은 앞으로 변경된 DNS 서버를 사용할 네트워크를 선택하시고, 우측 하단의 ‘Advanced…’를 누릅니다. ▼

 

3) ‘DNS’ 탭에 가셔서 ‘+’ 버튼을 누르고, 원하는 DNS 서버 기본/보조 주소를 입력합니다. ▼

이전에 아무 설정을 하신적 없으시다면, 통신사 기본 DNS가 회색으로 표기되어 있으실 겁니다. 이는 그냥 무시하고 ‘+’ 눌르시면 없어집니다(혹, 남아 있을 경우 ‘-‘ 버튼으로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주소를 다 입력하셨으면, ‘OK’ 버튼을 눌러 나오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Cloudflare DNS 서버를 사용하고 있는데, 구글 DNS 서버를 사용하고자 하시는 경우엔 아래 두가지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다른 DNS 서버는 위에 있는 서버 주소 리스트를 활용해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 8.8.8.8
  • 8.8.4.4

 

4) 다음, ‘Apply’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


윈도우에서 DNS 서버 변경하기

1) 상태표시줄의 ‘네트워크 아이콘’ >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기’를 선택합니다. ▼

 

2) ‘이더넷 > 어댑터 옵션 변경’을 선택합니다. ▼

 

3) ‘이더넷’을 우클릭해서 ‘속성’을 선택합니다. ▼

 

4)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선택하시고 ‘속성’을 누릅니다. ▼

IPv4 / IPv6을 만지시면 되는데, 보통, IPv4만 만지시면 됩니다. 어차피 설정법은 똑같기 때문에 IPv6에 관련한 내용은 생략하였습니다. 아래 주소 참조하시어 설정해보시기 바랍니다.

구글 DNS 서버 주소 (IPv6) ▼

  • 2001:4860:4860::8888
  • 2001:4860:4860::8844

 

5)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을 선택하고, 본인이 원하는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

마찬가지로, 구글 DNS 서버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아래 그림은 Cloudflare DNS 주소입니다).

  • 기본 : 8.8.8.8
  • 보조 : 8.8.4.4


공유기에서 설정하는 방법

공유기에서 설정하시면 해당 공유기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들이 변경된 DNS 서버 주소를 사용합니다(일일이 설정할 필요 없어 편리하죠). 필자는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습니다.

 

1) ‘192.168.0.1’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합니다(혹, 이전에 변경한 적이 있으시다면 변경한 주소로 관리자 페이지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Iptime’이 아닌 다른 공유기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아래 주소를 참조 바랍니다.

  • 제조사/모델별 설정 페이지 주소 및 아이디/비밀번호 ▼
공유기 모델    설정페이지 주소    아이디 / 비밀번호 초기값
IPTIME192.168.0.1admin / admin  또는  없음
QookHub172.30.1.254ktuser / megaap 또는 ktuer/homehub
HomeHub172.30.1.254:8899ktroot / nespot  or  megaap
LGU+ ( NAPL,CAPL)192.168.123.254admin / 10자리의 공유기 시리얼번호
MyLGtv192.168.219.1user / power, admin / power
SKtelesys192.168.15.1:62207root / skb_ipdcp
SK(DVW-2000N)192.168.25.1admin / admin 또는 admin/skb_wifi
SKtv(MW-2010R)192.168.20.1admin / skbiptv,   root / 1234 or admin
Anygate192.168.10.1사용자 설정
Buffalo192.168.11.1root / 공백
Unicorn192.168.123.254admin / admin
LG axler192.168.10.1사용자 설정
D-link192.168.0.1admin / 공백
Samsung192.168.123.254   192.168.0.1admin / 공백
Zio192.168.10.1사용자 설정
Wavecast192.168.200.254   192.168.25.1admin / admin & skb_iptv & skb_wifi
Linksys192.168.1.1admin / 1234 공백 / admin
Belkin192.168.2.1사용자 설정
Netgear192.168.0.1admin / password,   admin / 1234
Netop192.168.0.1admin / admin
Neple192.168.10.1admin
Levelone192.168.123.254사용자 설정
NETWEEN192.168.1.1admin / admin
NEXT192.168.100.1   192.168.0.1사용자 설정
Imation192.168.10.1사용자 설정
ASUS192.168.10.1사용자 설정
SMC192.168.2.1smcadmin
Xiaomi Mi192.168.31.1사용자 설정
TP-LINK192.168.1.1사용자 설정
netis192.168.1.1사용자 설정

출처 – ‘내가 산 공유기 와이파이 비밀번호 설정 방법

 

2) 왼쪽 사이드바에서 ‘인터넷 설정 정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DNS 서버 수동 입력’ 항목을 체크하고 원하는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하신 후, 우측 하단의 ‘저장’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

마찬가지로, 구글 DNS 서버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그림은 Cloudflare DNS 서버 주소입니다.).

  • 기본 : 8.8.8.8
  • 보조 : 8.8.4.4


이상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