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기기 백업은’ 아주 기본적인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블로그에서 한번도 다룬적이 없어 이제서야 자세하게 다뤄보게 되었습니다. 베타 버전 테스트 혹은 기타 다른 이유로 iOS 기기를 백업을 하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
먼저, iOS 기기를 백업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
- iCloud를 활용한 방법 (Wifi를 통한 무선 백업)
- iTunes를 활용한 방법 (PC 혹은 맥과 연결 필요)
* 필자는 iCloud 공간이 아까운 까닭에 (대부분의 경우) iTunes를 활용한 방법을 선호합니다.
목차
iCloud를 통한 백업
아래 경로에서 ‘iCloud 백업’ 토글을 켜주기만 하시면, Wi-Fi가 연결된 환경에서 자동으로 백업이 진행됩니다.
- 설정 > 애플 ID(최상단) > iCloud > 백업 ▼
- PC 혹은 맥과 케이블로 연결 > iTunes에서 ‘iCloud’ 선택 > Back Up Now ▼
iTunes를 통한 백업
1) 기기를 Cable로 PC 또는 맥과 연결한후, 구입 항목 전송을 합니다.
* AppStore, iBooks 등의 일부 콘텐츠는 백업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미리 구입항목을 전송합니다.
- File > Devices > Transfer Purchased from “iPhone” ▼
2) 휴대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3) 활동, 건강 및 키체인 데이터까지 백업에 포함시키려면 아래와 같이, ‘Encrypt iPhone backup’을 체크합니다(권장). ▼
* ‘Encrypt iPhone backup’를 클릭하는 순간 백업은 시작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Back Up Now 버튼을 누릅니다.
4) 백업이 끝난 후, 백업 시점의 데이터를 온전하게 보전하고자 하시면 백업 데이터를 아카이브합니다.
- iTunes > Preferences… > Devices > 우클릭 다음 Archive ▼
- 아카이브된 데이터는 아래 경로에 저장됩니다(맥의 경우). ▼
~/Library/Application Support/MobileSync/Backup/
- 복원 시 > iTunes에서 ‘Restore Backup’ ▼
기타 백업 관련 정보
우선, 두 방법의 공통점은 기기에 저장된 거의 모든 데이터와 설정을 백업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백업을 하긴 하지만 아래 데이터는 백업에서 제외됩니다(애플 공식 지원 문서에 근거). ▼
iCloud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예: 연락처, 캘린더, 메모, 나의 사진 스트림, iCloud 사진 보관함, iMessage, 문자 메시지(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에 저장된 데이터(예: Gmail 및 Exchange 메일)Apple Pay 정보 및 설정Touch ID 설정iCloud 음악 보관함 및 App Store 콘텐츠(iTunes Store, App Store 또는 iBooks Store에서 여전히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인 경우 이미 구입한 콘텐츠를 탭하여 다시 다운로드할 수 있음)
* 초록색으로 표시된 항목은 사실상 이미 iCloud 및 구입항목에 저장이 되어 있으므로 백업이 된다고 보는게 맞고, Apple Pay는 국내에선 불가하며, Touch ID 및 Face ID는 기기를 사용함과 동시에 설정할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위 내용들은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iCloud와 iTunes을 이용한 백업의 차이점
방법이 다른 만큼 약간의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크게 신경쓰실 필요는 없습니다(애플 지원 문서 근거). ▼
iCloud의 경우
iCloud의 저장공간 소모.항상 백업을 암호화.Wi-Fi를 통해 백업(Cable이 필요 없음).
iTunes의 경우
맥 또는 PC의 저장공간 소모.기본적으로 암호화 설정이 꺼져있으나, 백업 데이터 암호화 가능함.Cable이 필요함.활동, 건강 및 키체인 데이터가 백업에 제외됨(이 콘텐츠를 백업하려면 iTunes에서 암호화된 백업을 사용해야 함).- iTunes에서 동기화된 콘텐츠 (예: 가져온 음악 파일 또는 비디오, 책 사진 등)
‘iTunes로 백업하는 경우’의 ‘iTunes에서 동기화된 음악 파일 및 기타 콘텐츠’의 경우만 염두하면 나머지는 너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iTunes 내에 콘텐츠(MP3 등)가 사라졌다면 동기화 후에도 파일들이 사라지므로).
기존의 파일이 복원되지 않는 경우
이 부분에 대해 조금 자세하게 이야기해보면, 아래와 같은 경우엔 이전 파일(예를 들어)이 복원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례 1
- 오래전에 iTunes를 통해 음악을 기기에 넣었다.
- 그리고 iTunes에서 음악을 삭제하였다.
- iTunes를 통해 기기를 백업하였다.
- 기기를 복구하였다.
- 내 기기에 예전에 넣어놓았던 음악이 보이지 않는다(백업에 포함이 되지 않으므로).
사례 2
- iOS 기기에 공인 인증서가 저장되어 있다.
- iCloud를 통해 기기를 백업하였다.
- 기기를 복구하였다.
- 내 기기에 공인 인증서가 보이지 않는다.
사례 3
- 아이패드를 iTunes / iCloud를 통해 백업하였다.
- 백업된 데이터를 아이폰에 복원하였다.
- 일부 콘텐츠들이 아이폰에서 보이지 않는다(아이패드 전용 콘텐츠들이 사라짐).
나에게 맞는 백업 방법은?
설명이 길어졌는데 쉽게 정리하자면..
- ‘백업 되지 않는 콘텐츠를 동기화 후 바로 살릴 수 있거나 본인이 쉽게 관련 콘텐츠 삽입이 가능하다.’ 하시면 iTunes로 백업을 하시고,
- ‘iCloud 저장공간이 너무 남아 돌고 이런 저런 내용을 신경 쓰고 싶지 않고 편리하게 하고 싶다’ 하시면 iCloud로 하시면 됩니다.
- ‘공인 인증서’는 iCloud를 통한 백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다른 종류의 iOS 기기(예: 아이패드/아이폰 간)의 백업/복원은 일부 콘텐츠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문서화된 내용과 무관하게 iCloud를 활용한 백업 데이터 복구 시 종종 오류가 나곤 하기 때문에, 필자는 iOS 버전에 관계 없이, iTunes를 활용하여 백업/아카이브 하는 것이 안정적이라 생각합니다.
이 글이 백업하는 방법에만 치우진 만큼 언젠가 있을 백업 복원의 날에는 ‘백업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이어 적어보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