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에서 DNS 서버 변경 방법 | Cloudflare

아이폰에서 무선 네트워크(와이파이)에 접속하였을 때 DNS 서버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고로, 셀룰러 데이터를 이용할 때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추가로, 공유기에서 바로 변경하는 방법까지 명시해두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조 바랍니다.

  • UPDATE 2019-02-25 : 셀룰러에도 적용되는 Cloudflare 앱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DNS 서버 주소 리스트 ▼

필요한 주소가 있으시다면 선택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혹, 리스트에 추가됬으면 하는 주소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KT olleh 기본 DNS 서버 주소 : 168.126.63.1 
KT olleh 보조 DNS 서버 주소 : 168.126.63.2 

SK Broadband 기본 DNS 서버 주소 : 219.250.36.130  
SK Broadband 보조 DNS 서버 주소 : 210.220.163.82 

LG U+ 기본 DNS 서버 주소 : 164.124.101.2 
LG U+ 보조 DNS 서버 주소 : 203.248.252.2 

Google 기본 DNS 서버 주소 : 8.8.8.8 
Google 보조 DNS 서버 주소 : 8.8.4.4 

OpenDNS 기본 DNS : 208.67.222.222 
OpenDNS 보조 DNS : 208.67.220.220 

Cloudflare  기본 DNS : 1.1.1.1 
Cloudflare 보조 DNS : 1.0.0.1

아이폰, Cloudflare DNS 서버로 변경하기

Cloudflare의 DNS(1.1.1.1)을 사용할 경우 DNS 쿼리를 암호화하여 ISP(통신사)들이 사용자의 DNS 데이터를 수집하지 이용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ISP(통신사)의 무단 수집을 막는 도구로 사용하지만, 아이클라우드 & 앱스토어가 빨라지는 기적(?)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 ▼

  • DNS-over-HTTPS : 사용자가 DNS에 요청한 주소를 통신사가 모르게 암호화
  • VPN : VPN 아이콘이 나오더라도 이것은 실제 VPN이 아닙니다. 단순히 DNS 쿼리를 위한 아이폰 자체 서버이며, Cloudflare(1.1.1.1) 앱을 사용하는 동안 다른 VPN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1) 앱스토어에서 ‘1.1.1.1: Faster Internet’ 앱을 내려받습니다. | Cloudflare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

 

2) DNS 쿼리를 위한 자체 VPN 서버 생성을 위해 VPN 프로필을 설치합니다. ▼

설정 > 일반 > VPN 탭에서 ‘1.1.1.1’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체 VPN과 개인용 VPN이 구분되어 있으니 쉽게 식별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

 

3)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면 DNS-over-HTTPS의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1.1.1.1(Cloudflare) DNS로 성공적으로 변경된 것입니다. ▼


아이폰, 와이파이의 DNS 서버 변경하기

설정을 변경한 무선 네트워크(와이파이)의 DNS 서버만 변경됩니다. 즉, A 와이파이만 변경하셨다면, B 와이파이는 공유기에 설정된 DNS 서버(본인이 A 와이파이에 변경한 DNS 서버가 아닌)를 그대로 사용하게 됩니다.

 

1) ‘설정 > Wi-Fi’를 선택합니다. ▼

 

2) 접속된 와이파이 옆 ‘i’ 버튼을 누릅니다. ▼

 

3) ‘DNS 구성’을 선택합니다. ▼

 

4) ‘수동’을 선택하시고, 설정되어 있는 DNS 서버 주소를 지웁니다. 다음, ‘+’ 버튼으로 새 DNS 주소를 추가합니다. ▼

아래는 KT 기본/보조 DNS 주소값입니다. 각 통신사 DNS 주소는 본문 상단에 명시해두었으니, 돌아가고 싶으시면 언제든 다시 입력하시면 됩니다. 고로, 굳이 기록할 필요 없이 그냥 지우시면 됩니다.

 

5) 변경하고자하는 DNS 서버의 주소(기본/보조)를 입력하시고, ‘저장’을 누르시면 됩니다. ▼

  • 주소 참조 ▼
KT olleh 기본 DNS 서버 주소 : 168.126.63.1 
KT olleh 보조 DNS 서버 주소 : 168.126.63.2 

SK Broadband 기본 DNS 서버 주소 : 219.250.36.130  
SK Broadband 보조 DNS 서버 주소 : 210.220.163.82 

LG U+ 기본 DNS 서버 주소 : 164.124.101.2 
LG U+ 보조 DNS 서버 주소 : 203.248.252.2 

Google 기본 DNS 서버 주소 : 8.8.8.8 
Google 보조 DNS 서버 주소 : 8.8.4.4 

OpenDNS 기본 DNS : 208.67.222.222 
OpenDNS 보조 DNS : 208.67.220.220 

Cloudflare  기본 DNS : 1.1.1.1 
Cloudflare 보조 DNS : 1.0.0.1

공유기에서 DNS 서버 미리 변경하는 방법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에서 일일이 설정할 필요 없이 공유기에서 DNS 서버를 사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공유기에서 사전에 DNS 서버를 변경해두신다면, ‘자동’ 옵션에 체크가 되어 있어도 변경된 DNS 서버를 사용합니다. ▼

 

1) 먼저,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하여 ‘관리도구’를 선택합니다. ▼

제가 사용하는 공유기 모델이 ‘iptime’인지라 편의상 ‘iptime’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iptime의 경우, 192.168.0.1가 기본입니다.

 

2) 왼쪽 사이드바에서 ‘인터넷 설정 정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DNS 서버 수동 입력’ 항목을 체크하고 원하는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하신 후, 우측 하단의 ‘저장’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

  • 구글 기본 DNS 주소 : 8.8.8.8
  • 구글 보조 DNS 주소 : 8.8.4.4
  • Cloudflare 기본 DNS 주소 : 1.1.1.1
  • Cloudflare 보조 DNS 주소 : 1.0.0.1


이상입니다.

참조

댓글 남기기